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회/경제, 주식

요즘 기사에서 자주보이는 '매파적' 그 의미는?

by 먼데이모닝 2022. 8. 30.

미국 주식이 잠깐 반등했었던 게 거짓말 같이 며칠 전에 갑자기 또 주식이 하락했다. 

그 원인이 파월의장이 잭슨홀미팅에서 매파적 입장을 강조해서 그렇다는 류의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근데 매파적? 매파스럽다는거 같은데 

과연 매파가 무엇일까?

 

 

매파적 관련 기사들
매파적 관련 기사

 

 

 

매파

 

매파 매일경제

매파란 자신의 이념과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상대방과 타협하지 않고 강경히 사태에 대처하려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매파는 베트남전쟁이 교착화하면서 베트남전쟁의 확대·강화를 주장한 미국 내 보수강경파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1798년 미국의 제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이 처음 사용하였다.동의어 주전파

 

매파 시사경제용어사전

사납고 공격적인 매처럼 강력하게 무력 등을 사용해 일을 처리하는 보수강경파를 말할 때 매파라 일컫는다. 1798년 미국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처음 사용했다. 이와는 반대의 개념으로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처럼 부드럽고 평화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집단이나 정당을 비둘기파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매파 (매일경제, 매경닷컴)

 

비둘기파

비둘기파란 정치·사상·언론 또는 행동 따위가 과격하지 않고 온건한 방법을 취하려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비둘기파는 온순한 비둘기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베트남전쟁의 확대·강화를 주장했던 매파에 대립하여 이들은 전쟁을 더 이상 확대시키지 않고 한정된 범위 안에서 해결할 것을 주장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비둘기파 (매일경제, 매경닷컴)

 

 

매파, 비둘기파를 네이버 지식 백과에 검색해 보면 뜻이 이렇게 나온다.

즉, 보수강경파, 급진파는 매파라고 하고 반대로 온건파는 비둘기파라고 한다.

 

시사 경제 무식자인 나는 이것만으로는 사실 파월의장이랑 매파적이라는 단어가 왜 상관이 있는지 잘 모르겠어서

파월의장이 뭘 했길래 매파적이라는 단어가 계속 나오나 맥락을 살펴봤다.

찾아보니 경제적인 의미로의 매파적이라는 단어는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과 금리의 인상을 주장하는 진보세력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파월의장의 금리인상 발언이 매파적이라는 기사가 계속 나왔던 것이다.

 

 

이걸로 파월의장의 긴축적 정책 기조를 더 이어가야 한다고 한 발언이 매파적이라고 하는 말을 이해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