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사회/경제, 주식

주식 반대매매가 증가한다는데 반대매매란 무엇일까?

by 먼데이모닝 2022. 9. 29.

 

 

주식용어 반대매매

 

 

주가 급락에 반대매매가 증가한다는 기사가 매일 올라오고있다.

반대매매가 13년만에 20%를 돌파했다고 하고, 담보부족계좌가 3배로 급증했다고 한다.

반대매매가 무엇이길래 매일 이 난리인걸까?

 

반대매매란?

반대매매는 주식, 옵션, 선물 등을 현금이 아닌 미수나 신용거래 후 과도한 하락이 발생했을 때 증권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임의로 처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현금으로 주식 매매한 사람들은 상관 없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다.

반대매매는 전날 종가 대비 20~30% 낮은 금액으로 주문이 산정된다.

주가가 급락하면 반대매매가 쏟아지고 그러한 반대매매로 인해서 주가의 추가 하락이 이어지게 된다.

반대매매 매물이 많아질 수록 국내 증시도 전반적으로 하락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 반대매매 확인 방법

반대매매 지표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금융투자협회 사이트를 보면 된다.

금융투자협회사이트에 들어가서 주식 탭 > 한눈에 보는 자본시장통계 > 실제반대매매 순으로 클릭하면

반대매매 지표확인

 

이렇게 실제 반대매매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엄청나게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대매매는 주식 신용거래와 현금미수 두가지로 발생되는데

현금미수는 나도 모르게 미수 거래가 될 때도 있다.

내 계좌 증거금률을 100%로 설정하면 미수거래가 안되니 바꿔놓는 것을 추천한다.

 

 

코로나 19 이후 주식 시장에 뛰어든 개미 투자자들이 많아졌고 주식 신용거래량도 엄청나게 늘어났다고 한다.

나도 물론 회사에서 버는 돈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주식을 공부하는 입장이지만

주식은 자신이 견딜 수 있을 자금 내에서 운용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반대매매라는 뜻을 몰라서 이 블로그에 들어 온 사람이 신용거래로 주식을 사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앞으로도 초보 때는 웬만하면 주식 신용거래를 하지말았으면 한다.

주식은 여유자금으로! 주식공부 많이하고 자신이 책임질 수 있을 만큼만 매매하자!